핵심목표 | 국사학과는 한국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역사학 소양을 갖춘 전문가, 역사 지식을 활용한 융복합 분야의 창의적 인재, 역사로 소통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사회참여적 실천가를 길러내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. |
---|---|
세부목표 | 1. 한국사 전문 연구자 양성 |
1-1 한국사학계의 연구현황과 문제의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한다. 1-2 한국사 관련 각종 사료들에 대한 기초 해석 능력을 키운다. 1-3 분야별 역사 지식을 바탕으로 현대사회를 바라보는 역사적 시각을 체득한다. 1-4 전지구적인 역사 전개를 이해함으로써 다문화 · 다언어의 글로벌 국제사회에 기여한다. |
|
2. 현장 중심 전문가 ‘공공역사가’ 양성 | |
2-1 대한민국 수도 서울을 비롯한 도시 공간을 역사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 능력과 최첨단 응용 기술을 습득한다. 2-2 문화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 방법의 이해, 현장 실습, 발굴지 답사 등을 통해 사회적 요구 및 현실에 부응하는 역사전문가를 양성한다. 2-3 역사 사실에 기반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 ·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을 습득한다. |
|
활동 및 진로분야 | 박물관·역사관·사료편찬소 등 역사 관련 공공기관, 초·중·고등 교육기관, 신문·방송 등 언론계, 역사교재 및 서적 출판계, 영화·다큐멘터리 등 역사문화콘텐츠 제작 관련 업계, 기타 각종 전문대학원, 공무원, 일반 기업체 등 |
교과과정 유형 | 1. 국사학과 교과과정은 학문지향형인 “한국사 전문 연구자 양성” 과정과 사회진출형인 “현장 중심 전문가 ‘공공역사가’ 양성” 과정으로 구분한다. 2. “한국사 전문 연구자 양성” 과정은 한국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하며, “한국사 공통” 트랙과 “한국사 심화” 트랙으로 구분된다. “한국사 공통” 트랙은 한국사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역사학 글쓰기, 사료 읽기 능력 등을 수련할 수 있는 전공필수 과목들과 한국사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사로 이루어져 있다. “한국사 심화” 트랙은 한국사에 대한 이해 심화를 위해 주변국인 일본과 중국의 역사, 서양사, 그리고 사회경제, 사상, 국제관계 등 각 분야사로 시야를 넓힌다. 3. “현장 중심 전문가 ‘공공역사가’ 양성” 과정은 역사학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 각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, “도시사” 트랙, “문화자원관리” 트랙, “역사콘텐츠” 트랙으로 구분된다. “도시사” 트랙은 한국의 도시 역사는 물론 GIS(지리정보시스템) 등 첨단 융복합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과목들로 이루어져 있으며, “문화자원관리” 트랙은 문화재 발굴부터 보존, 전시에 이르기까지 문화 자원 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을 할 수 있는 과목들이 배치되어 있다. “역사콘텐츠” 트랙은 역사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관련 분야를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. |
연번 | 소분류 | 구분코드 | 전공능력 설명 | 학부·과 교육목표 연관성 |
---|---|---|---|---|
1 | 전문성역량 | 전문연구능력 | 한국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능력 | 1-1 |
2 | 사료해석능력 | 역사적 사료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 | 1-2 | |
3 | 사료활용능력 | 사료를 활용하여 연구할 수 있는 능력 | 1-2 | |
4 | 소통역량 | 구조적사고 | 역사적 사건들에 대해 구조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| 1-3 |
5 | 다문화이해 | 다문화 및 다언어 이해 및 소통 능력 | 1-4 | |
6 | 상대화능력 | 한국 문화와 타문화의 비교 및 상대화 능력 | 1-4 | |
7 | 의사전달능력 | 자신의 의사를 논리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 | 1-3 | |
8 | 창의역량 | 콘텐츠생산 | 역사 관련 다방면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 | 2-3 |
9 | 문화자원활용 | 문화 자원을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| 2-2 | |
10 | 융복합기술 | 역사 자료를 활용한 최첨단 기술 구사 능력 | 2-1 |
핵심역량 전공능력(구분코드) |
전문성 | 소통 | 창의 | 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종합적사고 | 정보·기술활용 | 문제해결 | 공감과협업 | 글로벌감각 | 사회공헌 | 창안 | 융복합 | 혁신 | |
1.전문연구능력 | ● | ○ | |||||||
2.사료해석능력 | ○ | ● | |||||||
3.사료활용능력 | ○ | ● | ○ | ||||||
4.구조적사고 | ○ | ○ | ● | ||||||
5.다문화이해 | ○ | ○ | ● | ||||||
6.상대화능력 | ● | ○ | |||||||
7.의사전달능력 | ○ | ● | ○ | ||||||
8.콘텐츠생산 | ○ | ○ | ● | ||||||
9.문화자원활용 | ○ | ● | ○ | ||||||
10.융복합기술 | ● | ○ | ○ |
세부목표 1 : | 한국사 전문 연구자 양성 |
---|
분야 | 교과 구분 |
교과 번호 |
교 과 목 | 이수 시기 |
권장이수학생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취업 지향 |
대학원 진학 |
복수 전공 |
|||||
한 국 사 공 통 | 전필 | 53060 | 한국역사입문 | 1-1 | ○ | ○ | ○ |
전필 | 53404 | 역사학글쓰기의이론과실제 | 1-2 | ○ | ○ | ○ | |
전필 | 53427 | 학업설계상담Ⅰ | 1-1 | ||||
전필 | 53428 | 학업설계상담Ⅱ | 1-2 | ||||
전필 | 53464 | 동아시아언어와사료Ⅰ | 2-1 | ○ | ○ | ||
전필 | 53465 | 동아시아언어와사료Ⅱ | 2-2 | ○ | ○ | ||
전선 | 53009 | 한국현대사 | 1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008 | 한국근대사 | 2-1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059 | 조선시대사 | 3-1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058 | 고려시대사 | 3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006 | 한국고대사 | 4-1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027 | 한국선사시대사 | 4-2 | ○ | ○ | ○ | |
한 국 사 심 화 | 전선 | 53064 | 한국사회경제사의이해 | 3-1 | ○ | ○ | |
전선 | 53041 | 한국민족운동사 | 3-2 | ○ | ○ | ||
전선 | 53425 | 한국사상사 | 4-2 | ○ | ○ | ||
전선 | 53089 | 중국전통사회의역사 | 2-1 | ○ | ○ | ||
전선 | 53083 | 중국근대사회의역사 | 3-2 | ○ | ○ | ||
전선 | 53424 | 중국사상사 | 4-1 | ○ | ○ | ||
전선 | 53412 | 서양고중세사 | 3-2 | ○ | ○ | ||
전선 | 53408 | 서양근현대사 | 4-1 | ○ | ○ | ||
전선 | 53079 | 일본의역사 | 4-2 | ○ | ○ | ||
전선 | 53407 | 근현대국제관계사 | 3-1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14 | 전근대동아시아국제관계사 | 3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21 | 동아시아의역사갈등과화해 | 3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075 | 한국과세계의교류사 | 4-1 | ○ | ○ | ○ |
세부목표 2 : | 현장 중심 전문가 ‘공공역사가’ 양성 |
---|
분야 | 교과 구분 |
교과 번호 |
교 과 목 | 이수 시기 |
권장이수학생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취업 지향 |
대학원 진학 |
복수 전공 |
|||||
도시사 트랙 |
전선 | 53431 | 역사경관과도시 | 3-1 | ○ | ○ | ○ |
전선 | 53430 | 도시역사와GIS | 3-1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23 | 한국도시의역사 | 3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66 | 역사데이터베이스의이해와활용 | 3-2 | ○ | ○ | ○ | |
문화자원관리 트랙 |
전선 | 53422 | 한국고고학개설 | 2-2 | ○ | ○ | ○ |
전선 | 53454 | 고고학실습 | 3.4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26 | 문화재학의이론과실제 | 4-1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63 | 박물관학의이론과실제 | 4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55 | 한국사와문헌정보 | 4-2 | ○ | ○ | ○ | |
역사콘텐츠 트랙 |
전선 | 53452 | 역사콘텐츠의제작과실습 | 2-2 | ○ | ○ | ○ |
전선 | 53453 | 역사시나리오작성 | 3.4-2 | ○ | ○ | ○ | |
전선 | 53429 | 역사문화종합설계 | 4-1 | ○ | ○ |
구분 | 심화전공 | 복수전공 학생 | |
---|---|---|---|
학문지향형 | 사회진출형 | ||
해당분야 전공교육 방향 | 한국사 연구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료 해석 능력과 한국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및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갖춘 한국사 전문 연구자를 양성한다. | 한국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박물관 전시, 역사 다큐멘터리 제작, 문화재 보존 등 한국사 관련 분야에 진출하여 전문가로 활약할 수 있는 활동가, 곧 ‘공공역사가’를 양성한다. | 한국사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복수전공하는 학문 분야와 소통함으로써 복수전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. |
중점전공 교과내용 | 한국사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위에 역사학 글쓰기, 사료 읽기 능력과 같은 기본 소양을 수련하고, 그를 바탕으로 한국의 선사시대부터 고대, 중세, 근대,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사에 접근하며, 나아가 사회경제, 사상, 국제관계 등 각 분야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. | 한국 도시사와 관련 융복합 기술을 습득하고, 문화 자원 관리에 필요한 이론 학습과 실습을 병행하며, 역사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관련 진로를 미리 체험한다. | 한국의 선사시대부터 고대, 중세, 근대, 현대 등 각 시대사와 더불어, 사회경제, 사상, 국제관계 등 각 분야사에 대해 이해한다. |
교양교육에서 강화할 교과내용 |
· 한국사에 대한 상대화와 세계와의 관계성 고찰 · 역사 서술과 사회 변동 사이의 상관관계 이해 · 역사 지식에 바탕한 종합적 사고 능력 증진 · 학제간 소통의 기반이 될 인문학적 소양 함양 |
||
비교과 프로그램 |
· 국사학과 춘·추계 정기 학술답사 - 한국사와 한국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역사 유적 현장 답사 프로그램 운영 · 융복합 응용 교육 - 드론 비행, 3D 모델링, 영상 제작 등 역사학에 활용 가능한 첨단 기술 실습 프로그램 운영 |